<3> 3월 6일(수업: <연출> (고은기감독님))
1. 오늘의 강의 내용을 정리하여 주세요.(강의 순서와 내용을 핵심적으로 요약하여)
첫 한 시간은 낭희섭 선생님이 수업을 맡았습니다. 지난 기수가 만들었던 1차 실습 작품 세 편을 감상했습니다. <내릴 수 없는 깃발1>, <내릴 수 없느 깃발 2>, <올릴 수없는 등급> 이었습니다.
이를 통해 선생님은 향후 우리가 해나갈 작업의 방향과 주의할 점을 설명하셨습니다.
1) 타이틀 디자인도 중요하다.
2) 시간 절약을 위해 촬영 당일 아침에 서로 모닝콜을 하라.
3) 야외, 복도, 동아리방 등을 주로 공간으로 사용하는데 시간 안배를 고려하라.
4) 4개 정도의 scene 를 생각하라.
등의 말씀을 남기셨습니다. 그밖에 토요일에 있을 산행을 준비하는 말씀을 남기시코 퇴장하셨습니다.
--
11시부터 수업을 시작하신 고은기 감독님은 점심을 먹기전 (~13:00) 수업까지 지난 시간에 있었던 시나리오 수업을 이어가셨습니다. 우선 1줄 로그라인, 5줄 요약 과제를 우수하게 작성한 학생의 사례를 들었습니다. (1줄 로그라인: 정혜선/ 5줄요약: 이승욱)
1) 3막구조. (끝까지 간다)를 사례로.
1막: 등장인물과 처해 있는 상황, 주요갈등 설정.
Ex) 부패경찰, 감찰반,(끝까지간다 는 조진웅의 등장까지 서론으로 친다면, 서론이 매우 긴 편)
2막: 그 상황이 진척되어 일어나는커다란 사건.
: 주인공이 자기 의지로 무언가를 깨닫는 지점/ 장애물에 의해 넘어졌다 일어나는것은 대부분 서브플롯의 영향을 받음.
Ex) 정만식의 죽음+ 딸에 대한 위협
3장: 갈등이 해소되고 결말
cf) 메인플롯: 조진웅vs 이선균/ 서브플롯: 경찰 내부의 일.
: 대부분 메인플롯과 서브플롯은 충돌하고, 서브플롯이 메인플롯의 갈등을 해결하는단초가 되는 경우가 많음.
2) 플롯 중심 이약: Holleywood: 스케일이큼. 사건의 결말에 관심을 갖도록
캐릭터 중심: 한국. <개를 훔치는 방법>, <친구>, <파이란>- 인물의 내면에 초점.
3) 최근 시나리오는 악당이 논리가 분명하고 매력적이다.
오프닝과 엔딩이 매우 중요하다.
사랑스러운 주인공(공감이 되어야)
4) 인물: 단점을 함께 갖고 있는주인공/ 사건: 목표물- 인간의욕망을 뭉쳐놓은 것.
배경: 시간, 공간.2
5) 영화 <변호인>의 한 장면 보고 시나리오로 옮겨보기.
#. 식당. (실내/ 밤)
허름한 국밥집. 후줄근한 차림의 더벅머리 남자가 근심에 찬 표정으로 식탁앞에 앉아있다. 국밥을 쟁반에 들고 남자의 뒤쪽으로 다가오는 아주머니.
아주머니: (국밥을 내려놓으며) 뭔일 있나? 와 죽상이고. 뭐 좀 더 갖다줄까?
남자: (고개를 웅크린 채아주머니를 보지도 않고) 아, 아입니도.
아주머니: 야야, 오늘은 지난 달 식비라도 좀 주고가라. 곗값때문에 돈이 좀 빈다.
대답을 하는 둥 마는 둥 하는 남자.아주머니의 말에 더욱 풀이 죽는다. 그때 다른 손님들이 나간다. 아주머니는 고개를 돌려 그쪽에 신경을 쓴다.
사람들: 아지매요. 잘 묵었십니도.
아주머니: 가입시도.
남자는 조심스레 뚝배기에서 국밥을 떠먹기 시작한다. 아주머니는 부엌정리로 부산하다. 주머니에 손을 넣어 돈이 있는지확인하는 남자. 아주머니의 눈치를 살핀다. 아주머니가 화장실에들어간다. 그 사이 남자는 주머니에서 돈을 꺼내 한참을 만지작 거린다.이윽코 조심스레 일어나 문쪽으로 걸어나가 도망치려고 한다.
그 순간, 식당 마루에 엎드려 누워 책을 보고 있는 식당집 아들과 눈이 마주친다. 화들짝 놀라는 남자. 서둘러 문을 열고 뛰쳐 나간다.
6) 설명을 위한 대사는 코믹하고 유쾌하게 활용하라. <친구>- 네 아버지 뭐하시노 scene.
설명을 해야한다면 조금 더 유코해게. 소소하지만건드릴 수 있는 부분을 찾아야.
--- 점심식사.
7) 연출 강의
현장 용어들: ex) 슛, 레디, 스피드, 롤, 슬레이트 치는 법. 등등
8) 연출이란 어떻게 보여줄 것인가에 대한 답.
9) 협력자들과 상의가 매우 중요한 작업이다
10) 장면의 단위: 컷과 샷/ 씬/ 시퀀스
11) 샷: 같은 인물을 쭉 찍을 때는 full->waist-> Bast 는취지 않음.
Bust-> Bust 일 경우 30도 정도 이동해서찍으면 튀지 않음.
12) 컷이란 편집, 슛이란 촬영의 단위. 미학적으로 큰 의미가 있음.
13) 몽타쥬: 모으다. 조합하다. Ex) 부당거래의천호진과 황정민이 공모하는 시퀀스. -> 쇼트와 쇼트가 충돌하여 제 3의 의미를 만들어내는 것.(정+반=합)
14) 미장센: 영화가 한 장면을 구성하는 데 있어 모든 것.
15) 몽타쥬가 편집을 통해 주제를드러낸다면, 미장센은 한 화면 속에 담기는 이미지의 모든 구성요소들이 주제를 드러내도록 하는 감독의작업.
16) 이미지 라인-> 이미지라인을 넘어가는 경우도 있음. Ex) 끝까지 간다. 시한폭탄 폭발 직전의 긴장들.
17) 시점샷. 주관적일 수도, 객관적일 수도. Ex)마틴스콜시지의 택시 드라이버. 등장인물의 불안함, 몽환적인상황을 효과적으로 전달.
18) 콘티뉴이티: 시간의 연속성, 공간의 연속성, 사운드의연속성, 음악의 연속성.
위에 제시한 것이 모두 불일치 해도 컷을 연결시킬 수 있음. 음악으로도 연결 가능.
: 이야기의 서사성만 잘 갖추고 있다면 튀지 않을 수 있다.
연속성을 스스로 만들어가야(이것이개인의 스타일이 아닐까?)
19) 빨강(풀밭 위의 식사) GnB 영어학원 cf스토리보드를 통한 스토리보드 숙지.
à 동선을 세밀하게 지정해주어야. 스토리보드에 세밀한 정보와 연출의도를 담아야한다.
20) 레이먼드 챈들러의 글.
: 영화는 삶을 그려내는 것이다. 어떤 시선으로 영화를 찍을지 무장이 되어 있지않다면 말하고자 하는 바가 흐려질 수 있다.
명확한 관점, 세계관을 정해놓지않으면 힘들어진다.
21) 에덴의 동쪽, 달마가 동쪽으로 간 까닭은. ::::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를 다뤄야.
22) 플롯포인트: 방심하거나 소홀히 할 때 결정타를 날리는 것. 관객의 긴장을 끌고가다 훅 바꾸는 지점. 이야기의 흐름을 바꾸는 순간.
23) 자신이 좋아하는 영화로 한 번분석을 해보자.
24) 감독님의 영화. <빨강>을 통해 스토리보드가 실제 영상으로 구현되는 과정을확인. 영화의 전개도 감독님의 설명과 함께 스킵을 하며 감상.
2. 이번 강의를 통하여 얻은 것은 무엇입니까 ? (구체적으로)
촬영장에서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연출자로서의 자세, 개념을 개괄적으로 알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솔직히 배운 내용은아무리 숙지를 해도, 실제 현장에서 한 번 더 부딪히며 몸에 체화시켜야 할 것 같았습니다.
감독님의 말씀 중 가장 기억에 남았던 것은 ‘레이먼드 챈들러’의 simple art of murder 중 발췌한 부분을 통해 ‘영화관’에 대해 설명하신 부분이었습니다.
갓 걸음마를 뗀 상황, 많은 새로운정보를 접하고 있는 상황에서 버거울 수도 있지만, 내가 영화를 하는 이유, 그리고 영화를 통해 무엇을 하고 싶은지를 끊임없이 스스로에게 질문해 나가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3. 이번 강의내용 가운데 이해가 안 되는 점은 ? (해당 사항이 있을시)
4. 수업과 관련하여 담당 강사에게 추가 질문할 사항은 ?
5, 수업과 관련하여 진행 조교에게 건의할 사항은 ? (해당 사항이 있을시)
6. 수업과 관련하여 동기들에게 하고 싶은 의견은 ?
7. 그밖에…
덧글